티스토리 뷰
목차
폐렴은 예방이 가능한 질병입니다.
폐렴 백신은 폐렴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폐렴 백신의 종류와 접종 시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폐렴 백신의 종류
폐렴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집니다. 폐렴구균 백신과 독감 백신입니다. 두 백신 모두 폐렴 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1. 폐렴구균 백신
폐렴구균 백신은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백신입니다. 폐렴구균은 세균성 폐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주로 노인이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위험합니다.
- PCV13 (13가 폐렴구균 백신): 13가지 폐렴구균 종류에 대해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 PPSV23 (23가 폐렴구균 백신): 23가지 폐렴구균 종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1.2. 독감 백신
독감 백신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독감에 걸리면 폐렴을 포함한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독감 예방도 매우 중요합니다.
2. 폐렴 백신 접종 시기
2.1. 폐렴구균 백신 접종 시기
폐렴구균 백신은 주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접종이 권장됩니다. 고위험군에는 노인, 만성질환자, 면역력 저하자 등이 포함됩니다.
- 65세 이상: 65세 이상은 PPSV23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PCV13은 65세 이상에게 기본적으로 권장되지는 않지만, 의료기관에서 필요한 경우 접종할 수 있습니다.
- 만성질환자: 당뇨병, 심장 질환, 호흡기 질환 등을 앓고 있는 사람은 19세부터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할 수 있습니다.
- 면역력 저하자: 면역 억제 치료를 받고 있거나 HIV 감염자가 포함됩니다.
2.2. 독감 백신 접종 시기
독감 백신은 매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변형되기 때문에, 매년 가을에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접종 시기: 보통 9월에서 11월 사이가 독감 백신 접종의 가장 적합한 시기입니다.
- 고위험군: 65세 이상, 어린이, 만성질환자 등은 우선 접종 대상입니다. 특히 임산부나 노인은 독감에 의한 폐렴 합병증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접종해야 합니다.
3. 폐렴 백신 접종 후 관리
폐렴 백신 접종 후에는 가벼운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주로 주사 부위의 통증, 미열, 두통, 피로감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보통 몇 일 내로 사라집니다. 접종 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몸 상태가 이상하면 의료기관에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폐렴 백신으로 폐렴 예방하기
폐렴은 초기 발견과 예방이 중요합니다. 폐렴구균 백신과 독감 백신은 폐렴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고위험군에게 강력히 권장됩니다.
정기적인 접종으로 폐렴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신 접종 시기를 놓치지 않고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폐렴 예방의 첫걸음입니다.